한국납세자연맹은
조세전문가, 노동운동가 등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국내 유일의 조세 시민단체입니다.
2001년 1월, 부당한 조세제도와 세금징수, 불필요한 예산낭비를 견제 및 방지함으로써 서민의 어깨에 지워진 무거운 조세부담을 덜어주자는 떼 뜻을 모았습니다. 현재까지 자동차세불복운동, 학교용지부담금 전원환급, 휴면예금찾아주기, 신용카드공제폐지운동 등 납세자의 편에서 숨가쁘게 달려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세청의 환급불가방침에 맞서 연말정산과정에서 누락한 소득공제에 대해, 추가적인 환급신청을 통해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시민운동을 전개하여 현재까지 1만 6,000여명이 약 120억원의 세금을 환급받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① 직계비속인 자녀ㆍ손자ㆍ손녀ㆍ외손자ㆍ외손녀
② 재혼한 배우자의 자녀(사실혼 제외)
③ 입양자
≫ 민법 또는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의하여 입양한 양자 및 사실상 입양상태에 있는 자녀
④ 직계비속(입양자 포함)과 직계비속의 배우자(며느리ㆍ사위)가 모두 장애인인 경우 직계비속의 배우자
2. 공제 요건
①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이하 ☞소득금액 100만원 알아보기
≫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 500만원 이하면 공제대상에 포함(2015년 연말정산부터 적용)
② 만 20세 이하(1996.1.1. 이후 출생자)
≫ 장애인인 경우에는 나이 관계없음
3. 공제금액
1인당 연 150만원
4. 공제사례
① 연도중에 20세가 초과하더라도 당해연도는 공제 가능
② 주민등록에 같이 거주하지 않고 별거하고 있어도 공제 가능
③ 연도중에 사망한 경우에도 공제 가능
④ 출생신고 전 사망한 자녀도 의사의 출생증명서 등 병원기록에 의해 가족관계ㆍ출생ㆍ사망기록 확인되면 기본공제와 자녀세액공제 가능, 세법상 장애인인 중증환자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아 병원에서 장애인증명서 발급받을 경우 장애인공제 가능
⑤ 재혼한 배우자의 자녀도 공제 가능
⑥ 외국국적의 자녀나 군복무중인 자녀도 공제 가능
⑦ 이혼하여 친권이 없거나 동거하지 않는 자녀도 공제 가능
⑧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 장애인 자녀는 만20세 초과하더라도 기본공제, 자녀세액공제, 장애인공제,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 가능
⑨ 직계비속의 배우자(며느리ㆍ사위)는 공제 대상이 아님
≫ 자녀와 자녀의 배우자가 모두 장애인인 경우에는 자녀의 배우자도 공제대상에 포함됨
⑩ 조카는 공제대상이 아님
≫ ‘사실상 입양상태에 있는 자'로서 거주자와 생계를 같이하는 자(단, 연령 및 소득금액 요건 충족)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본공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부양할 다른 직계존속이나 친족 등이 있는지 또는 당해 거주자가 계속적으로 부양할 것인지 여부 등을 종합하여 사실 판단할 사항임(법인46013-2511,1999.7.2).
⑪ 재혼한 직계존속의 배우자의 직계존비속은 공제대상 부양가족에서 제외됨
5. 공제참고
① 자녀 기본공제 받을 경우 자녀세액공제,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신용카드 등 사용액을 같이 공제할 수 있음
② 자녀가 만20세 초과하였더라도 소득이 없거나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이하면 기본공제, 자녀세액공제, 보장성보험료, 기부금은 공제할 수 없으나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등 사용액은 공제할 수 있음
③ 자녀가 만20세 초과, 소득금액 100만원 초과하더라도 의료비는 공제할 수 있음
④ 자녀 기본공제 받은 부모님이 해당 자녀의 자녀세액공제, 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신용카드 등 사용액도 같이 공제해야 함
⑤ 연도 중 혼인하여 부양자가 변경된 경우에도 혼인 전 지출한 자녀의 교육비, 의료비는 공제됨
⑥ 연도 중 취업하여 연간 근로소득금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는 자녀가 취업 전 지출한 교육비, 의료비는 공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