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예산대비 특수활동비 비중, 청와대-감사원-국회-경찰청-법무부 순
청와대 올해 특수활동비 232억원, 지출예산대비 12.9% 해당
국세청 올해 특수활동비, 2007년 대비 5.5배 증가한 54억원 편성
국가정보원을 제외한 올해 부처별 국가예산 중 특수활동비의 비중이 가장 큰 부처는 청와대로 지출예산액 1794억의 12.9%에 해당하는 232억원이 책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또 올해 특수활동비가 편성된 19개 기관 중 2007년도에 비해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곳은 국세청으로 11년전 보다 무려 5.5배 증액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납세자연맹(회장 김선택)은 정보공개를 통해 기획재정부로부터 입수한 ‘2017년 소관부처별 특수활동비 예산금액’을 분석한 결과 “올해 특수활동비로 확정된 예산은 총 8939억원으로 2016년보다 68억9200만원 증가했다”며 1일 이 같이 밝혔다.
납세자연맹에 따르면 2017년의 각 부처 특수활동비를 11년전과 비교한 결과, 국세청은 2007년에 9억8420만원에서 올해는 54억원이 책정돼 가장 많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어 통일부는 1.6배, 국방부 1.2배 증가되었으며 국무조정실 및 국무총리실, 국가정보원, 법무부, 미래창조과학부, 청와대, 경찰청은 1.1배 가량 증액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3년, 대법원은 2015년, 방위산업청은 2017년에 각각 특수활동비 예산이 신규로 편성됐다.
특히 국세청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10억원 미만의 특수활동비가 편성되었으나 2012년에 29억원으로 증가하더니 2013년부터는 54억원대로 급등했다.
또 납세자연맹이 올해 지출예산대비 특수활동비 비중을 집계한 결과, 청와대에 이어 감사원 3.1%(39억원), 국회 1.4%(82억원), 경찰청 1.3%(1302억원), 법무부 0.9%(286억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가정보원은 보안을 위해 지출예산액의 100%를 특수활동비로 충당하므로 다른 부처와 특수활동비의 성격이 달라 이번 순위집계에서 제외됐다.
납세자연맹은 “특수활동비 편성내역 상의 항목은 명목적인 항목일뿐 실제적으로는 각 부처의 기관장들이 조직관리차원에서 급여성 활동비, 격려금, 퇴직위로금 등으로 전용하여 사용하고 있다”며 “영수증 첨부가 필요없고 감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특수활동비가 상급기관이나 기관장에 상납되거나 기타 생활비 등 사적유용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납세자연맹 김선택 회장은 “국민의 세금을 감시해야 하는 국회와 감사원조차 특수활동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엄청난 적폐이자 모순”이라며 “급여성 활동비로 이용된 특수활동비는 모두 근로소득으로 간주해 과세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회장은 이어 “세금을 징수하는 국세청이 특수활동비로 54억원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국세청이 국민들에게 세금을 성실히 내 달라고 할 자격을 상실한 것”이라며 “특수활동비를 사용할 이유가 없는 부처는 특수활동비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예산을 반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납세자연맹 홈페이지에는 특수활동비의 유용에 분노한 국민들의 항의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
의견을 남긴 김아무개씨는 “민간단체에 내리는 지원금은 백원짜리 물품을 구입해도 계좌입금, 세금계산서 발행을 하거나 카드결재를 하고 구입한 물품을 사진으로 첨부하라느니 하면서 행정편의적이라 느낄정도로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는 정부가 참으로 이중적 잣대를 가지고 있다”며 “영수증도 없고 출처도 알 수 없다니 어이없다”고 비판했다.
또 이아무개씨는 “청와대에서 탈세를 조장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서민들은 갑근세를 조금이라도 덜 내려고 또는 자영업자 매출 노출되라고 천원단위까지 영수증을 받아 세원확보에 이바지 하는데 나라의 녹을 먹는 공무원이 이런식으로 영수증없이 내가 낸 세금을 함부로 쓰고 있다는 사실에 분노한다. 당연히 돈을 썼으면 영수증 처리를 해야 한다”라고 성토했다.
<보도참고자료>
1. 부처별 예산지출액 대비 특수활동비 비중(2017년)
2. 11년간 특수활동비 예산 연도별 증감